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운동이 PTSD(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에 도움을 주는 원리

by widStory 2025. 2. 7.

운동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치료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다양한 연구를 통해 입증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운동이 PTSD 증상 완화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그 메커니즘과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스트레스 이미지
운동이 PTSD(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에 도움을 주는 원리

1. 운동과 PTSD: 개요

PTSD는 심각한 외상 사건을 경험한 후 나타나는 정신 건강 장애로, 플래시백, 악몽, 심한 불안, 우울증 등 다양한 증상을 포함합니다. 전통적인 치료법으로는 심리치료와 약물치료가 주로 사용되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운동이 보조 치료법으로서 효과적임이 밝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Oppizzi와 Umberger(2018)의 연구에서는 신체 활동이 PTSD 증상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효과적인 보조 요법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연구는 신체 활동이 우울과 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며, PTSD 환자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2. 운동이 뇌에 미치는 영향: 신경가소성과 BDNF

운동은 뇌의 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을 촉진하여 PTSD 증상 완화에 기여합니다. 신경가소성이란 뇌가 경험과 학습을 통해 구조와 기능을 변화시키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규칙적인 신체 활동은 뇌유래신경영양인자(BDN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의 분비를 증가시켜 신경 세포의 성장과 연결 강화를 돕습니다.

서울대학교 김태경 교수 연구팀의 보고서(2019)에 따르면, 유산소 운동이 혼재성 불안장애 모델에서 뇌신경망 및 후생유전학적 조절 기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운동이 PTSD와 같은 불안 장애의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3. 운동의 생리적 효과: 스트레스 호르몬 조절

운동은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cortisol)의 수치를 조절하여 PTSD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줍니다. 규칙적인 신체 활동은 코르티솔 수치를 안정화시키고, 세로토닌(serotonin)과 도파민(dopamine)과 같은 기분 조절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촉진하여 기분 개선과 불안 감소에 기여합니다.

TRE(Tension & Trauma Releasing Exercises)와 같은 스트레스·트라우마 완화 운동은 불안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 파일럿 연구에서는 TRE가 불안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4. 실제 사례: 운동을 통한 PTSD 증상 개선

실제 사례를 통해 운동이 PTSD 증상 개선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걷기 운동 프로그램: Diaz와 Motta(2008)의 연구에서는 유년기에 외상을 경험한 PTSD 환자들에게 걷기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증상의 중증도가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 감각운동 심리치료: 감각운동 심리치료 집단프로그램이 외상 경험자의 외상 회복과 심리적 안정에 효과적임이 확인되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신체적 움직임과 심리치료를 결합하여 PTSD 증상 완화에 기여합니다.

5. 운동 프로그램의 적용 방안

PTSD 증상 완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운동 프로그램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1. 유산소 운동: 달리기, 수영, 자전거 타기 등 심폐 지구력을 향상시키는 운동은 스트레스 호르몬 조절과 기분 개선에 효과적입니다.
  2. 요가 및 명상: 요가는 심신의 이완을 돕고, 명상은 마음의 평온을 가져와 PTSD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줍니다.
  3. TRE(Tension & Trauma Releasing Exercises): 특정한 신체적 움직임을 통해 긴장과 트라우마를 해소하는 데 도움을 주는 운동입니다.
  4. 감각운동 심리치료: 신체적 움직임과 심리치료를 결합한 프로그램으로, 외상 회복과 심리적 안정에 효과적입니다.

운동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전에 전문가와 상담하여 개인의 상태에 맞는 적절한 운동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운동은 꾸준함이 핵심이므로 일상생활에 지속적으로 통합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결론

운동은 PTSD 증상 완화에 효과적인 보조 치료법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신경가소성 촉진, 스트레스 호르몬 조절, 기분 개선 등 다양한 메커니즘을 통해 운동은 PTSD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합니다. 따라서, PTSD 치료 계획에 개인별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을 포함시키는 것이 권장됩니다.